https://youtu.be/Ia8IfowgU7s 강의 보면서 정리하기 서버를 관리한다는 것 : 서버의 상태를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 문서화 -> 설정관리도구(CHEF, puppet, ANSIBLE) -> 가상머신(서버 하나에 가상머신을 여러개 올림) -> 컨테이너(대표: Docker)모든 실행환경을 컨테이너로 바꿈 컨테이너의 특징 -> 전체 서버의 환경을 가져옴 1. 가상머신과 비교하여 컨테이너 생성이 쉽고 효율적 2. 컨테이너 이미지를 이용한 배포와 롤백이 간단한 3. 언어나 프레임워크에 상관없이 애플리케이션을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 4. 개발, 테스팅, 운영환경은 물론 로컬PC와 클라우드 까지 동일한 환경을 구축 5. 특정 클라우드 벤더에 종속적이지 않음 Developer -> Build -> S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