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242

[Spring Framework core] 1.9. Annotation-based Container Configuration (1)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current/reference/html/core.html#beans-annotation-config Core Technologies In the preceding scenario, using @Autowired works well and provides the desired modularity, but determining exactly where the autowired bean definitions are declared is still somewhat ambiguous. For example, as a developer looking at ServiceConfig, how do docs.spring.io 틀린 해석이 ..

Web/spring 2023.03.07

[McAfee Web Gateway] MWG 란

맥아피 웹 게이트웨이(McAfee Web Gateway)는 웹 보안 솔루션으로, 기업에서 인터넷 사용을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웹 게이트웨이는 일종의 프록시 서버로, 기업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모든 클라이언트 트래픽을 캡처하고 이를 분석해 허용된 트래픽만을 통과시키는 역할이다. 이를 통해 악성 코드나 사이버 공격 등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맥아피 웹 게이트웨이는 인터넷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웹 사이트 필터링, 악성 코드 탐지 및 차단, SSL/TLS 인스펙션 등이 있다. 웹 게이트웨이는 기업의 보안 정책과 규정을 준수하고,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보안 솔루션이다. 맥아피 웹 게이트웨이는 Sp..

Web/tip 2023.03.06

[Spring Batch] 대용량 데이터 처리 간단한 예제

예시 1 CSV 파일에서 파일 정보를 읽어와 대문자로 변경한 후 출력 * Job 설정 @Configuration @EnableBatchProcessing public class BatchConfig { @Autowired private JobBuilderFactory jobBuilderFactory; @Autowired private StepBuilderFactory stepBuilderFactory; @Autowired private ItemReader reader; @Autowired private ItemProcessor processor; @Autowired private ItemWriter writer; @Bean public Job processFileJob() { return jobBuild..

Web/tip 2023.03.06

[SQL] 정규화(Normalization)

SQL 정규화(Normalization)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를 일관되게 저장하기 위해 수행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 일관성, 유지보수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정규화는 일반적으로 제1정규형부터 제3정규형까지 적용된다. 제1정규형(1NF) : 각 열이 원자값(Atomic Value)을 가져야 한다. 즉, 각 열에는 중복된 값이 없어야 한다. 제2정규형(2NF) : 부분 함수 종속을 제거하기 위해 적용된다. 부분 함수 종속이란, 기본키 일부분만으로는 유일하게 특정되지 않는 경우를 말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본키가 아닌 속성들을 새로운 테이블로 분리해야 한다. 제3정규형(3NF) : 이행 함수 종속을 제거하기 위해 적용된다. 이행 함수 종속이란, A가 B에..

Web/DB 2023.03.05

[Spring Framework core] 1.6. Customizing the Nature of a Bean (3)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current/reference/html/core.html#beans-factory-aware Core Technologies In the preceding scenario, using @Autowired works well and provides the desired modularity, but determining exactly where the autowired bean definitions are declared is still somewhat ambiguous. For example, as a developer looking at ServiceConfig, how do docs.spring.io 틀린 해석이 있다면 ..

Web/spring 2023.03.0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