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업무용으로 받은 맥북프로를 세팅 하면서 기록 겸 적어두려고 한다.
1. homebrew 설치하기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brew 를 쓰려고 하는데
zsh: command not found: brew
이렇게 뜨고 안된다면, 환경변수가 잘못 설정된 상태이다.
터미널에서
vi ~/.zshrc
로 들어간 다음에
i 를 누르고 인서트 상태에서
export PATH=/opt/homebrew/bin:$PATH
해당 내용을 적어주고 ESC -> :wq 엔터를 친 뒤
터미널에서 한번 더 해당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
source ~/.zshrc;
homebrew에 환경변수가 세팅됐다.
개발툴은 IntelliJ 를 사용한다.
다른 필요한 개발환경이 있다면 세팅하기로 하고,
일단 기본적인 것들만 시작해보려고 한다.
2. JDK 11 설치
ORACLE 에서 JDK 11버전 설치 하는게 내가 생각하는 방식이였는데,
구글링 해보니 Azul 라는 곳에서 설치하는 분들이 있었다.
🤔.. 뭐지?? 했는데
https://www.azul.com/ko-kr/java-alternative-vendors/
Oracle Java의 릴리즈 종료 시점이 변화하고 분기별로 제공되었던 Java 이전 버전의 무료 업데이트가 더이상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Java 커뮤니티에는 새로운 Oracle JDK 대안 제품들이 다수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Oracle Java의 새 대안으로 가장 인기 있는 4가지 옵션으로 Azul Platform Core, Red Hat OpenJDK, Amazon Corretto, AdoptOpenJDK가 있습니다.
아마 그 과거 시점에는 dmg 제공이 안되어서 그런 듯 하다.
2022.12.01 기준으로 JDK 11.0.16 은 제공,
이걸로 설치했고, 잘 된다.
아무튼, 나는 그냥 오라클로 설치함!
macOS Arm 64 DMG Installer 로 설치했다.
3. 환경변수 세팅
이번에는 아예 파일을 열어서 경로를 입력해보자면,
터미널에
open ~/.zshrc;
경로는 본인이 설치한 경로로 지정해줄 것
export JAVA_HOME=/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jdk-11.0.17.jdk/Contents/Home
export PATH=${PATH}:$JAVA_HOME/bin
입력해주고 저장해주고,
다시 터미널에서
source ~/.zshrc;
하면 환경변수 세팅 완료!
확인은
echo $JAVA_HOME
해보면 된다.
'Web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Entity] Entity 컬럼 안에 리스트 넣는 방법 두가지 (0) | 2022.12.21 |
---|---|
[Spring setting] application.properties 자주 쓰는 설정 (0) | 2022.12.20 |
[Spring Security]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deprtecate (0) | 2022.12.14 |
[Spring Error]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0) | 2022.12.12 |
[spring gradle] h2 세팅해보기 (0) | 2022.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