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JavaScript

[Bubbling, Capturing]

728x90

 

버블링

- 한 요소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할당된 해들러가 동작 하고 그 이후 부모 요소 핸들러가 동작하여 가장 최상단 조상ㅇ요소로 가각 핸들러가 동작한다.

 

 

 

Form > Div > P 형태로 중첩된 구조 일 경우

  1. <p>에 할당된 onclick 핸들러가 동작
  2. 바깥의 <div>에 할당된 핸들러가 동작
  3. 그 바깥의 <form>에 할당된 핸들러가 동작
  4. document 객체를 만날 때까지, 각 요소에 할당된 onclick 핸들러가 동작

 

 

 

event.target

부모 요소의 핸들러는 이벤트가 정확히 어디서 발생했는지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한 가장 안쪽의 요소는 타깃(target) 요소라고 불리고, event.target을 사용해 접근할 수 있다.

 

event.target과 this(=event.currentTarget)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다.

  • event.target은 실제 이벤트가 시작된 ‘타깃’ 요소입니다. 버블링이 진행되어도 변하지 않는다.
  • this는 ‘현재’ 요소로, 현재 실행 중인 핸들러가 할당된 요소를 참조한다.

 

핸들러는 form.onclick 하나밖에 없지만 이 핸들러에서 폼 안의 모든 요소에서 발생하는 클릭 이벤트를 ‘잡아내고(catch)’ 있다.

클릭 이벤트가 어디서 발생했든 상관없이 <form> 요소까지 이벤트가 버블링 되어 핸들러를 실행시키기 때문이다.

form.onclick 핸들러 내의 this와 event.target은 다음과 같다.

 

form.onclick = function(event) {
  event.target.style.backgroundColor = 'yellow';

  // chrome needs some time to paint yellow
  setTimeout(() => {
    alert("target = " + event.target.tagName + ", this=" + this.tagName);
    event.target.style.backgroundColor = ''
  }, 0);
};
  • this(event.currentTarget) – <form> 요소에 있는 핸들러가 동작했기 때문에 <form> 요소를 가리킨다.
  • event.target – 폼 안쪽에 실제 클릭한 요소를 가리킨다

 

 

버블링 중단하기

event.stopImmediatePropagation()

한 요소의 특정 이벤트를 처리하는 핸들러가 여러개인 상황에서, 핸들러 중 하나가 버블링을 멈추더라도 나머지 핸들러는 여전히 동작한다.

event.stopPropagation()은 위쪽으로 일어나는 버블링은 막아주지만, 다른 핸들러들이 동작하는 건 막지 못한다.

버블링을 멈추고, 요소에 할당된 다른 핸들러의 동작도 막으려면 event.stopImmediatePropagation()을 사용해야 한다.

이 메서드를 사용하면 요소에 할당된 특정 이벤트를 처리하는 핸들러 모두가 동작하지 않는다.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곤 버블링을 막지 마세요!

버블링은 유용합니다. 버블링을 꼭 멈춰야 하는 명백한 상황이 아니라면 버블링을 막지 마세요. 아키텍처를 잘 고려해 진짜 막아야 하는 상황에서만 버블링을 막으세요.

event.stopPropagation()은 추후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할만한 시나리오를 살펴봅시다.

  1. 중첩 메뉴를 만들었다 가정합시다. 각 서브메뉴(submenu)에 해당하는 요소에서 클릭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고, 상위 메뉴의 클릭 이벤트 핸들러는 동작하지 않도록 stopPropagation을 적용합니다.
  2. 사람들이 페이지에서 어디를 클릭했는지 등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window내에서 발생하는 클릭 이벤트 전부를 감지하기로 결정합니다. 일부 분석 시스템은 그렇게 분석합니다. 이런 분석 시스템의 코드는 클릭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해 document.addEventListener('click'…)을 사용합니다.
  3. stopPropagation로 버블링을 막아놓은 영역에선 분석 시스템의 코드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분석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안타깝게도 stopPropagation을 사용한 영역은 '죽은 영역(dead zone)'이 되어버립니다.

이벤트 버블링을 막아야 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버블링을 막아야 해결되는 문제라면 커스텀 이벤트 등을 사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 이벤트 사용 방법은 추후에 다루겠습니다. 핸들러의 event 객체에 데이터를 저장해 다른 핸들러에서 읽을 수 있게 하면, 아래쪽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부모 요소의 핸들러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이 방법으로도 이벤트 버블링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캡쳐링

 

이벤트 흐름의 3가지 단계

  1. 캡처링 단계 – 이벤트가 하위 요소로 전파되는 단계
  2. 타깃 단계 – 이벤트가 실제 타깃 요소에 전달되는 단계
  3. 버블링 단계 – 이벤트가 상위 요소로 전파되는 단계

 

elem.addEventListener(..., {capture: true})
// 아니면, 아래 같이 {capture: true} 대신, true를 써도 된다.
elem.addEventListener(..., true)

capture 옵션은 두 가지로 나뉜다.

  • false이면(default 값) 핸들러는 버블링 단계에서 동작한다.
  • true이면 핸들러는 캡처링 단계에서 동작한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가 발생한 가장 안쪽 요소가 '타깃 요소(event.target)'가 된다.

  • 이벤트는 document에서 시작해 DOM 트리를 따라 event.target까지 내려간다. 이벤트는 트리를 따라 내려가면서 addEventListener(..., true)로 할당한 핸들러를 동작한다. addEventListener(..., true)의 true는 {capture: true}의 축약형이다.
  • 이후 타깃 요소에 설정된 핸들러가 호출된다.
  • 이후엔 이벤트가 event.target부터 시작해서 다시 최상위 노드까지 전달되면서 각 요소에 on<event>로 할당한 핸들러와 addEventListener로 할당한 핸들러를 동작시킨다. addEventListener로 할당한 핸들러 중, 세 번째 인수가 없거나 false, {capture: false}인 핸들러만 호출된다.

각 핸들러는 아래와 같은 event 객체의 프로퍼티에 접근할 수 있다.

  • event.target – 이벤트가 발생한 가장 안쪽의 요소
  • event.currentTarget (=this) – 이벤트를 핸들링 하는 현재 요소 (핸들러가 실제 할당된 요소)
  • event.eventPhase – 현재 이벤트 흐름 단계(캡처링=1, 타깃=2, 버블링=3)

핸들러에서 event.stopPropagation()을 사용해 이벤트 버블링을 멈출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방법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상위 요소에서 이벤트가 어떻게 쓰일지 확실치 않더라도, 추후에 버블링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캡처링 단계는 거의 쓰이지 않고, 주로 버블링 단계의 이벤트만 다뤄집니다. 이렇게 된 데는 논리적 배경이 있습니다.

현실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지역 경찰이 먼저 사고를 조사합니다. 그 지역에 대해 가장 잘 아는 기관은 지역 경찰이기 때문입니다.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면 그 이후에 상위 기관이 사건을 넘겨받습니다.

이벤트 핸들러도 이와 같은 논리로 만들어졌습니다. 특정 요소에 할당된 핸들러는 그 요소에 대한 자세한 사항과 무슨 일을 해야 할지 가장 잘 알고 있습니다. <td>에 할당된 핸들러는 <td>에 대한 모든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td>를 다루는데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td>를 다룰 기회를 이 요소에 할당된 핸들러에게 가장 먼저 주는 것입니다.

버블링과 캡처링은 '이벤트 위임(event delegation)'의 토대가 됩

728x90